증여로 처리하면 증여등기 ㆍ 증여세가 발생하게 되는데, 매매 ㆍ 상속 ㆍ 재산분할과 같은 다른 부동산등기 종류보다 세금이 많아 나와서 과연 증여를 하는게 옳은지에 대한 실익을 먼저 따져야 합니다.
증여하려는 이유 ㆍ 증여등기 ㆍ 증여세에 대해 정확히 알아본 후 그 계획을 실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증여를 처리해야 하니 그냥 증여를 처리하면 나중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많이 실수하는 부분 중 하나가 있는데, 셀프증여등기를 하려는 분들은 증여등기만을 생각하지 마시고, 증여세 ㆍ 양도세도 정확하게 따져보고 증여를 할지 ㆍ 말지를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한번 진행한 사건은 취소가 불가능합니다.
등기신청서 작성해서 문서상 증여로 명의이전하는 것이 중요하게 아니고, 증여를 함으로써 실익을 전체적으로 따져서 분석을 하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부모님 공동명의 변경시 발생하는 금액 (0) | 2021.04.20 |
---|---|
광주아파트증여 예로 보는 배우자증여 방법 ㆍ 기준시가 (0) | 2021.03.08 |
가정폭력으로 인한 재판이혼시 위자료 금액 (0) | 2020.12.30 |
증여등기 사건처리시 증여인 본인 확인 문제 (0) | 2018.09.04 |
부부간 증여세 공제(한도)는 각각 10년에 6억씩 (0) | 2018.08.21 |